*본 자료는 티스토리 블로그 융합두뇌대학교 운영자
융합두뇌가 상세한 해설을 직접 저술한 것입니다.
**첨부 PDF파일(빈칸 시험지, 빈칸 답) 다운로드 가능 (아래)
고등학교 YBM 삼화영어1 (신정현 저) 1과 Art Beyond Boundaries 본문 빈칸 시험지와 답 입니다.
이번 과는 일치문제가 좀 많이 나오더군요. 그래서 각 본문 별로 내용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편집 가능한 원문 필요하신 분은 댓글 남겨 주세요~
Art Beyond Boundaries-
The art museum for ( getting )( together )
함께하는 미술관
<본문 1>
When was the last time you went to an art gallery or art museum?
여러분이 마지막으로 화장이나 미술관에 간 것은 언제였는가?
Here [is/are] some of the answers (생략: which are )[posted/posting] ( on ) an art website :
여기 한 미술 웹사이트에 게시된 몇 개의 대답들이 있다.
- I ( haven't )( been )( to )[현재완료-경험] one for years.
-몇 년 동안 가 본 적이 없어요.
My dad ( used )( to ) take me ( to ) one when I was little. 제가 어렸을 때 아빠가 데려가시곤 했어요.
* used to V : ~하곤 했다
-Long ago, when I was a kid. It was our school trip.
-아주 오래 전, 제가 어릴 때, 현장 학습으로요.
- I often go to a gallery near my office [during/while] lunch break [main/mainly] ( to ) relax.
The only problem is the [noise/noisy] kids.
-주로 휴식하러 점심시간에 사무실 주변 화랑에 가요. 단 한 가지 문제는 시끄러운 아이들이에요.
These [responds/responses] show that[생략 가능/불가능] we typically ( treat ) art museum ( as ) a place of ( education ) for people of all ages, ( especially ) children.
이러한 응답들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미술관을 모든 연령의 사람들, 특히 아이들을 위한 교육의 장소로 여기고 있음을 보여준다.
Some of the most familiar scenes at an art gallery [is/are] lectures ( conducted ) by docents.
미술관에서 가장 익숙한 장면 중 몇몇은 도슨트가 하는 강의이다.
* 수행하다 : conduct
Docents [stood/standing] [after/before] a work of art may ( ask ) children ( to )( describe ) images or ( to )( compare ) and ( contrast ) different images.
예술 작품 앞에 서 있는 도슨트들은 아이들에게 작품의 이미지를 묘사하거나 다양한 이미지들을 비교 및 대조해 보라고 요청 할 것이다.
Because art museums ( are )( treated ) like schools by people, museum staff [act/acts] like they have a special ( responsibility )( to )( educate)[ 형용사적 용법] the public.
미술관이 사람들에게 학교처럼 여겨지기 때문에, 미술관 직원들은 대중들을 교육할 특별한 책임을 가지고 있는 것 처럼 행동한다.
They are also ( strict ) about [roles/rules] of ( conducted ) by ( prohibiting ) [run/running] or [eat/eating] in the gallery.
그들은 또한 미술관에서 뛰거나 먹는 것을 금지함으로서 행동 규칙들을 엄격하게 한다.
===============
본문 1 : 사람들이 생각하는 일반적인(전형적인) 미술관의 정의
미술관은 교육의 장소이고 행동 규칙이 엄격하게 적용되는 곳이다
<본문 2>
In the winter months of 2003 came Olafur Eliasson's Weather Project to Tate Modern, London.
2003 년 겨울, 런던에 있는 Tate Modern 에서 Olafur Eliasson의 Winter Project가 열렸다.
As a way to (participate)( in )[형용사적 용법] the exhibition, visitors of all ages [lied/lay/laid] on the floor in the museum's ( massive ) Turbine Hall, [waved/waving] their arms and legs.
전시회에 참여하는 방식의 하나로, 관람객들은 팔과 다리를 흔들면서 미술관의 거대한 Turbine Hall의 바닥에 누워있었다.
* lie-lied-lied: 거짓말하다 (1형식)
lie-lay-lain : 놓여있다, 누워있다 (1형식)
lay-laid-laid : ~를 놓다, ~를 낳다 (3형식)
They ( occasionally )( assembled ) [them/themselves] ( into ) patterns of ( abstract ) symbols or ( spelled )( out ) different words.
그들은 이따금씩 모여서 추상적인 상징의 모양을 만들거나 다양한 단어들을 내뱉었다.
* 모이다 : assemble * 내뱉다 : ( spell )( out )
[Other/Others] started [to dance/dancing]
다른 사람들은 춤을 추기 시작했다.
The ceiling of the hall ( was )( covered )( with ) [mirror/mirrored] panels, [which/in which/ for which] visitors could see [them/themselves] ( bathed ) in a soft red light.
홀의 천장은 거울로 된 판으로 덮여 있었는데, 그 거울에서 방문객들은 자신들이 부드러운 붉은색으로 휩싸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light(= a soft, red light) was [radiated/radiating] ( from ) a giant yellow disk [suspended/suspending] ( from ) a height of twenty-seven meter.
그 빛은 27 미터 높이에 매달려 있는 거대한 노란 원반으로부터 발산하고 있었다.
The disk had a ( semicircular ) steel frame with more than two hundred light bulbs.
그 원반은 200개 이상의 백열전구로 이루어진 반원형의 강철 틀이 있었다.
When [reflected/reflecting] in the ceiling panels, this frame appeared round
천장의 빛에 반사될 때, 이 틀은 둥글게 보였다.
( In )( addition ), an artificial mist [pumped/pumping] in ( from ) sixteen ( humidifiers ) gave the light the [effect/effort] of a dark winter sun ( covered )( in ) fog.
게다가, 16 개의 가습기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인공 물안개는 그 빛에 안개로 뒤덮인 어두운 겨울 태양의 효과를 주었다.
[During/While] the six months [which/ in which/ for which] it was open, the exhibition attracted two million visitors.
전시가 열린 6 개월 동안, 전시회는 2백만 영의 관람객을 끌어모았다.
===============
본문 2 주제 : Olafur Eliasson의 Winter Project.
1) 방문객들이 직접 참여 2) 천장에 거울 달고 바닥에 누워 있음
3) 원반은 27M높이에 매달려 있고 200 개 이상의 백열전구로 구성된 강철 틀이 있음
4) 원반에서 붉은 빛이 나옴
5) 16개의 가습기에서 인공 물안개가 나와 원반의 강철 틀이 겨울 태양처럼 보임
<본문 3>
Elisson's ( installations ) frequently use basic materials such as light, wind and heat [that/what/which] ( impress )( upon ) viewers images of Iceland's mysterious landscape, [that/ which/ where] the artist grew up.
Elission의 설치 미술은 관람객들에게 작가가 자랐던 아이스란드의 신비로운 풍경의 인상을 주는 빛, 바람, 그리고 열과 같은 기본적인 소재를 자주 사용한다.
When [producing/produced] ( on ) a ( large )( scale ), these materials can ( awaken ) in visitors a new sense of space - space that ( conveys ) powerful sensations, from joy to ( passion )( to )( wonder ).
대규모로 만들어 질 때, 이 소재들은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감각을 불러 일으킨다. - 기쁨과 열정, 그리고 경이로움 까지 강렬한 감정을 전달하는 공간
[Another/ Other] impressive feature of the exhibition [is/ are] that[생략 가능/불가능] people who visit [it/them] (←exhibition) [want/wants] to share this magical experience with their friends or even strangers ( since ) Eliasson's space ( encourages ) you ( to ) be part of community [생략: that is ] [bonded/bound] in emotions.
전시의 또 다른 인상적인 특징은 거기 방문한 사람들이 그들의 친구나 심지어 낯선 사람들과도 이 신비로운 경험을 공유하고 싶어한다는 것인데, 이는 Eliasson의 공간이 우리가 감정으로 결속된 공동체의 일부가 되도록 장려하기 때문이다.
For Eliasson's art, the art museum is a playground [which/that/where] people come together to share and express these feelings.(= 부사적 용법 목적)
Eliasson의 예술에서, 미술관은 사람들이 이러한 감정들을 공유하고 표현하기 위해서 함께 모이는 놀이 공간이다.
At a time [which/ when] people are becoming[동명사/ 분사] [increase/increasingly] ( self-centered ), [binding/bound] ( up ) in a world of ( private )( concerns ) and interests, his art helps us [image/imaging] a space of ( togetherness ) and open ( interaction ).
사람들이 개인 관심사와 이해관계의 세계에 묶여서 점점 자기 중심적으로 되는 때에, 그의 예술은 유대감과 열린 상호 교류의 공간을 상상하도록 도와준다.
===============
본문3 주제: Eliasson의 예술작품의 특징
1)기본적인 소재를 사용한다.
2) 작가가 자란 아이스란드 풍경을 떠올리게 한다
3) 방문객들이 신비로운 경험을 타인과 하고싶게 만든다
4) 방문객들이 유대감과 열린 상호 교류의 공간을 상상하게 해 준다.
<본문 4>
Another [temporary/contemporary] artist, Rirkrit Tiravanija, [has/have] a more [direct/indirect], ( down )-( to )-( earth ) approach ( to )( prove ) how art can help people [get/ to get] together.
다른 현대미술가인 Rirkrit Tiravanija는 예술이 어떻게 사람들을 모이게 도울수 있는지 증명하는 좀 더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접근법을 가지고 있다.
[In/ On] June 2015 in Basel, Tiravanija created an ( installation )( entitled ) “Do we dream under the same sky”.
2015년 바질에서, Tiravanija는 “Do we dream under the same sky”라는 제목의 설치물을 만들었다.
↱ 원래 문장 : As the installation was designed as a visually ~
[Designed/ Designing] as a visually impressive large-scale steel and bamboo structure, the installation ( aimed )( at )[bring/bringing] people together ( to )( form )[= 부사적 용법 목적) a community of sharing and giving.
그 설치물은 시각적으로 인상적인 큰 규모의 강철과 대나무 구조물로 설계되었고, 나눔과 베풂의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람들을 모으는 것이 목적이었다.
The important ( ingredient ) in forming this ( instant ) community [is/are] Tiravanija's "kitchen art", [which /in which /what / where] ( consists)( of ) cooking and serving food.
이 즉석 공동체를 만드는데 중요한 구성 요소는 Tiravanija의 “부엌 예술”인데, 그것은 요리와 음식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Back in 1992, he became famous [when/in which] he created an installation performance [when/in which] he ( transformed ) a New York art gallery ( into ) a kitchen with a refrigerator, hot plates, tables, and stools.
그는 예전 1992년에, 한 뉴욕 미술관을 냉장고, 요리용 열판, 식탁, 의지가 있는 주방으로 바꾼 설치 공연을 만들었을 때 유명해졌다.
He then cooked Thai curry, [which /what /where] anyone could ( drop )( in ) and eat.
그는 그리고 나서 태국식 카레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누구나 들러서 먹을 수 있었다.
It was [thrilling/thrilled] ( to ) be[=부사적 용법 감정의 원인) this ( casual ) in a gallery, as visitors ( shifted )( from )( passive ) viewing ( to )( active )( participation ).
미술관 안에서 격식을 차리지 않는 것은 흥분되는 일이었는데, 관람객들이 수동적인 관람에서 능동적인 참여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Since then, Tiravanija's cooking-as-art installation has been ( expanding ), ( challenging )( boundaries ) between art and life, museum and society.
그 이후로 Tiravanija의 요리 설치물은 예술과 삶, 박물관과 사회의 경계에 도전하면서 확장하고 있다.
===============
본문 4 주제: Tiravanija의 부엌 예술 설치물(2개)
1) 2015년 6월 Basel - 강철과 대나무로 Do we dream under the same sky 만듦(부엌) :
- 요리와 음식을 제공,
- 나눔과 베풂의 공동체 형성을 위해 사람들을 모으는 것이 목적
2) 1992년 New York - 뉴욕 미술관을 주방으로 바꾼 후 태국 카레 만들어 배분
격식 차리는 수동적 관람 → 능동적 관람으로 바꿈
3) Tiravanija의 요리 설치물은 예술과 현실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본문 5>
In “Do we dream under the same sky”, visitors could ( participate )( in ) several activities, [included/including] drinking herbal tea and dining.
“Do we dream the under the sky” 에서, 관람객들은 허브차 마시기와 식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활동들에 참가할 수 있었다.
They could even be more [passive/ active] in the show ( by )( running ) their own kitchen and ( coming )( up )( with ) unique ideas ( to ) serve guests.
그들은 심지어 자신의 부엌을 운영하고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독특한 아이디어를 제시함으로서 그 공연에서 더욱 적극적일 수 있었다.
The performance of cooking and serving food ( was )( designed )( to ) create a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s, [who/in which] usually [remain/remains] ( saparated ) and ( solitary ) in a traditional gallery setting.
요리하고 음식을 대접하는 그 공연은 개인들을 연결하기 위해 설계되었는데, 그들은 전통적인 미술관 환경에서는 대게 고립되고 홀로 있다.
Like Eliasson, Tiravanija also believes that art ( should) be an event of [community /communal] [involve /involvement].
Eliasson처럼, Tiravanija는 예술은 공동체가 참여하는 행사여야 한다고 믿는다.
To ( serve ) this [purpose/propose], the art museum had to ( break )( away )( from )( strict ) rules and regulations.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미술관은 엄격한 규칙과 규제에서 탈피해야만 했다.
The idea of ( liberating ) art museum had another ( breakthrough ) when two American artists, Harrell Fletcher and Miranda July, [created/creating] an online project ( entitled ) “Learning to love you more(LTLYM)”
미술관을 자유롭게 만들자는 생각은 Harrell Fletcher와 Miranda July라는 두 미국인 예술가가 “Learning to love you more(LTLYM)” 라는 제목의 온라인 프로젝트를 만들었을 때 또 다른 돌파구를 마련했다.
Over a ( span ) of ten [year/years], the two artists posted on the project's website seventy assignments, ( which )( were )( as ) simple ( as ) [take/taking](동명사/분사) photograph of one's parents kissing.
10년 이상의 기간 동안, 두 예술가는 프로젝트 웹사이트에 부모님의 키스 사진 찍기 만큼 단순한 70개의 과제를 게시했다.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sent in [responds/responses] [detailed/detailing] their lives.
전 세계의 사람들이 자신들의 삶을 자세히 설명하는 답변을 보냈다.
One assignment was [give/giving] advice ( to ) [you/yourself] about a past event.
한 과제는 자신에게 지난 일에 대해 충고하는 것이었다.
It produced [responds/responses] ( from ) the ( ridiculous ), such as "Don't ( scribble ) the word ( idiot ) on your sister’s forehead in ( permanent ) marker' ( to ) the ( tragic ) "Don't tell your father that you hate him before he goes to Iraq. When he doesn't come back, you will be sorry for the rest of your life".
그것은 “지워지지 않는 펜으로 여동생의 이마에 멍청이라고 낙서하지 말라”는 우스꽝스러운 답변에서부터, “아빠가 이라크에 가기 전에 네가 그를 미워한다는 말을 하지 마라, 그가 돌아오지 못할 때 너는 남은 평생을 후회할 것이다” 같은 매우 비극적인 답변까지 만들어 냈다.
* 우스꽝스러운 : ridiculous *지워지지않는, 영구적인 : permanent
===============
본문 5 : Tiravanija의 Do we dream under the same sky와
Harrell felcher & Miranda July의 Learning to love you more 프로젝트
1) Tiravanija의 Do we dream under the same sky :
- 방문객들이 스스로 부엌을 운영하고 손님을 대접
- 전통적인 미술관 환경에서 방문객은 고립되지만, 이 예술에서 공동체는 참여한다.
2) Harrell felcher & Miranda July의 Learning to love you more 프로젝트
- 10년 이상 온라인에 과제를 제시한 후 사람들이 참여하는 프로젝트
- 전 세계 8000개 이상의 사진과 경험이 담긴 가상 미술관이 됨
3) 공통점 : 둘 다 미술관은 엄격한 규칙에서 벗어난다.
<본문 6>
The project eventually becomes a [virtual/ virtually] art gallery [생략: which was ] ( made )( up )( of ) more than 8,000 ( contributions ) of unique images and experiences from across the world.
그 프로젝트는 결국 전 세계에서 온 8,000개 이상의 독특한 이미지와 경험의 기여로 구성된 가상 미술관이 되었다.
Those [who/which] [was/were] [involving/involved] ( in ) this project had the unique ( privilege ) of ( witnessing ) a new gallery [grown/growing] over the years,
이 프로젝트에 관련된 사람들은 수년에 걸쳐 성장한 새로운 미술관을 눈 앞에서 목격하는 특혜를 누렸다.
* 특혜 : preveilege * 목격하다 : witness
It was like a tree, ( branching )( out )( to )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nd [link/linking] people everywhere ( into ) a global community.
그것은 세계 각지로 뻗어 나가서 곳곳의 사람들은 지구 공동체로 연결하는 나무 같았다.
* 뻗어나가다 : ( branch )( out )( to )
In a space ( no )( longer ) [bind/bound] ( up ) in [physical/emotional] limitation, they had ( unforgettable ) experience [imagined/imagining] and [shared/sharing] ( intimate ) moments from their lives.
더 이상 물리적인 한계에 묶여 있지 않는 공간에서, 그들은 자신의 삶에서 친밀한 순간들을 상상하고 공유하는 잊을 수 없는 경험을 했다.
* 친밀한 : intimate
These artists have proved that[생략 가능/ 불가능] the value of a work of art [depend/depends] [great/greatly] ( on ) the way [it/they](=a work of art)( interacts )( with ) people.
이 예술가들은 예술 작품의 가치가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크게 의존하는다는 것을 입증했다.
* ~와 상호작용하다 : ( interact )( with )
Their creative experiments ( highlight ) the need ( to )communicate ( about) and (생략: to ) share together with people.
그들의 창조적인 실험은 예술 작품에 대해 의사소통하고 사람들과 함께 공유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When art ( breaks )( free )( of ) the white walls of the traditional gallery, it is ( no )( longer ) [bored/boring]
예술이 전통적인 미술관의 흰 벽에서 벗어날 때, 그것은 더 이상 지루하지 않다.
*~에서 벗어나다 : ( break )( free )( of )
Kids are running(동명사/분사) through the different gallery rooms [because/because of] they are [exciting/excited] ( about ) art.
아이들은 미술에 흥미를 느끼기 때문에 여러 전시실을 뛰어다니고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