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티스토리 블로그 융합두뇌대학교 1운영자 융합두뇌입니다.

 

 

많은 수험생 분들께서 수능 외국어영역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전 그 이유를 확실하게 알아내기 위해 나름 오랜 기간 연구해 왔습니다.

 

이런 과정 속에서, 한 가지 확연하게 알 수 있는 것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수능 외국어영역 학습에 있어서 절대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어법, 어휘, 독해 영역 기출문제에 대한 상세하고 친절한 해설이 수험생들에게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이었지요.

 

 

많은 수험생들을 가르치면서 그들의 고충을 들어보면 그 대부분은 지문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힘들다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이러한 점에 착안해서 수능 어법·어휘·독해 기출지문을 구성하는 각각의 문장들을 특정한 의미 단위로 세밀하게 끊어서 해석해주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끊는 의미 단위를 설정하는 과정에서는 여러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끊긴 단위가 매우 세세할 수도 또 비교적 광범위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입장에서는 해설을 읽으면서 자신이 파악한 내용이 맞는지 보다 수월하고 면밀히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이지요.

 

수능 영어를 공부하면서 세 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첫째는, 기초가 부족한 수험생들은 기본 문법책을 함께 참조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입니다.

 

자신의 문법 지식의 중심이 될 수 있는 기본서 한 권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지요. 기본서를 활용하는 것은 본 교재를 보다 더 잘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효과적일 것입니다.

 

 

둘째는, 의미 단위의 해석을 통해 자세히 공부하는 것이 학습의 전부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지문에 대한 분석이 모두 끝난 뒤에는, 우리말 해석의 도움 없이 영어 원문만을 수차례 보면서 글의 구조를 유기적으로 파악하고 그 안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미 한번 분석한 지문이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노력하게 되면 충분히 그 구조를 유기적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셋째는, 위의 과정에서 글을 과도하게 끊어서 해석하려고 하지 말고, 자신이 끊지 않고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는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스스로 확인해 보라는 것입니다. 능동적인 독해를 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끊어 읽기 방식은 평소의 학습에서 글에 대한 원활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함이지 실전에서 반드시 똑같은 규칙에 의거해서 의미 단위를 끊으라는 것이 아님을 잘 알고 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우 세세하게 의미 단위가 끊어진 문장의 경우 독해의 리듬(i.e. 일반적으로 의미 클러스터를 구분짓는 리듬)을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닙니다. 물론 전반적으로는 세세하게 분석을 하면서 글의 리듬을 타는 것도 고려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복합적인 성향을 띠겠지요.

 

 

최종 단계에서 제대로 된 직독직해를 한다는 것은, 글의 구조를 유기적으로 이해하면서 필요에 따라 능동적으로 글의 호흡을 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글의 구조와 의미를 유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독해력이 생길 때까지 꾸준히 영어 원문을 반복해서 읽어보는 훈련이 필요한 것이지요.

 

다시 말하면, 영어라는 언어에 대한 노출(exposure)의 정도를 자기 주도적으로 확대해나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제가 한 가지 고민한 것은, 지문에 대한 해석을 직역(literal translation)과 의역(free translation) 중 어느 것에 더 가깝게 할까 하는 문제였습니다.

 

우리말로 된 해석에서 존재하는 문장 성분이 영어 원문에는 존재하지 않아 구조 분석에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는 수험생들이 많이 있을 것입니다.

 

역으로 영어 원문에서 존재하는 성분이 우리말 해석에 존재하지 않아 답답했던 경험도 있을 것입니다.

 

전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 시키고자 수험생들의 입장에서 영어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수월하도록 직역에 보다 가까운 해석을 하려고 노력했고, 더불어 필요할 때는 보다 의역에 가까운 해석을 함께 제시했습니다.

 

 

지문을 접하면서 한결 수월하게 구조가 파악이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끝.

반응형

+ Recent posts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