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티스토리 블로그 "융합두뇌대학교" 2운영자 특이두뇌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영어 '문장의 5형식' 기초 뼈대에 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영어는 어떤 문장이라도 5형식 범위 내에서 해석이 됩니다영어 문법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5형식의 뼈대를 선제적으로 이해하면서 학습을 진행해도 좋을 같습니다.


하나씩 살펴볼까요?


1형식 : 주어 + 동사

2형식 : 주어 + 동사 + (주격) 보어

3형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4형식 :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 목적어

5형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


 

대한민국 정규 교육 과정을 거친 사람이라면 5형식은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입니다. 그러나 5형식이 와닿지는 않을 수 있어요.

 

 

이유는 보통 2 가지인데,

1) 목적어와 보어의 구분이 힘듦

2) 한국말과 달리 영어는 문장이 완전해야함


이런 연유로 5형식은 알겠지만,

그게 ?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우선 1) 목적어와 보어의 구별은 그냥 목적어는 "~/" 해석이 되고, 보어는 "~/" 해석이 안되는 아이라고 간단히 생각하세요. (문법책에서 말하는 보충 어쩌고 ~ 하는건 이해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 became a doctor.

나는 의사가 되었다.

I ate a slice of pizza.

나는 피자 조각"먹었다.


문장에서 doctor "" 또는 '"" 붙지 않았기 때문에 보어인거고, a slice of pizza "" 또는 "" 붙었기 때문에 목적어다 라고 해도 통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물론 우리말 해석 "" 또는 "" 붙으면 무조건 보어냐? 물론 그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목적어, 보어 하나를 발라내는 양일 선택의 문제에서는 충분히 활용할 있는 매우 심플한 필터링 방법입니다.


2)
한국말은 주어, 목적어 생략이 비일 비재한 언어입니다. 반면에 영어는 주어, 목적어 생략을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좋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사탕 줬어." 라는 문장은 한국말에서는 통상 오류가 없다고 판단하나, "I gave a candy." 라는 문장은 비록 통용되긴 하나 문법적으로 완전하지 않은 오류가 있는 문장입니다.

 

 

왜냐하면 "give" 라는 동사는 4형식 동사이기에, "~에게" "-/" 주다, , 목적어 2개를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목적어 2개란, 차례로, 간접 목적어 (IO. Indirect Object) 직접 목적어 (DO. Direct Object) 되겠죠


그렇기 때문에,

I gave my mom a candy. 

나는 엄마에게 사탕을 줬어.

문장이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이 됩니다.


이런 것들을 알기 위해서는 어떤 동사가 4형식이고, 3형식 동사인지 알아야 하겠죠? 물론 머리로 아는 것을 넘어서서 자주 접하고 활용함으로써 소위 "원어민 감각화" 불리는 체화의 영역까지 도달할 있다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오늘은 5형식이 중요하고, 보어와 목적어의 구별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1형식부터 5형식 순서를 숙지해 두세요!


마지막으로 형식의 최대한 쉬운 예시를 공유하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1형식 : 주어 + 동사

I(주어) work(동사) in the office.

나는 사무실에서 일한다.

 

2형식 : 주어 + 동사 + (주격)보어

I(주어) became(동사) a doctor(주격보어).

나는 의사가 되었다.

 

3형식주어 + 동사 + 목적어

I(주어) need(동사) a pen(목적어).

나는 "필요로 한다.

 

4형식주어 + 동사 + (간접) 목적어 + (직접) 목적어

I(주어) gave(동사) my mom(간접목적어) a candy(직접목적어)

나는 엄마에게 사탕을 주었다.

 

5형식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

I(주어) consider(동사) him(목적어) genius(목적격보어).

나는 그를() 천재적이라고 간주한다.


끝.

반응형

+ Recent posts

error: Content is protected !!